Blockchain
A collection of 40 posts

이더리움, '프라이버시 풀' 출시...규제와 익명성 동시 달성
이더리움 재단과 관련 생태계는 “프라이버시가 곧 범죄”라는 인식을 타파하고자 기술적 대안을 모색해왔다. 프라이버시 풀은 이 문제에 대한 현실적이며 법적으로도 수용 가능한 해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 CryptoTerminal

아랍에미리트(UAE), 새로운 디지털 디르함 공식 출범 계획 발표
UAE 중앙은행은 새로운 디르함 기호와 함께 2025년 말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디르함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디지털 디르함은 토큰화를 통해 자산의 부분 소유가 가능하며,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복잡한 조건부 거래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게 될 전망이다.
· CryptoTerminal

돌로마이트, 스파이더체인 통해 비트코인 디파이 지원
가상자산 대출 프로토콜인 돌로마이트가 보타닉스 랩스의 스파이더체인을 통해 비트코인 네트워크로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돌로마이트는 비트코인 생태계에서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CryptoTerminal

하이퍼리퀴드 ‘젤리젤리’ 사태…탈중앙화 거래소 신화에 균열
탈중앙화 거래소의 혁신이라 평가받던 하이퍼리퀴드가 ‘젤리젤리(JELLYJELLY)’라는 소형 밈코인을 둘러싼 공격에 노출되며 자체 청산 시스템이 엄청난 손실을 떠안게 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결국 하이퍼리퀴드 팀은 가격 롤백 및 거래 중단을 통한 직접적인 시장 개입을 단행했다.
· CryptoTerminal

이더리움 ETF, 스테이킹 수익 허용 논의 본격화…블랙록·뉴욕증권거래소 잇단 움직임
이더리움 현물 ETF들이 단순 보유를 넘어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 창출로 진화할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규칙 변경안이 승인될 경우, 해당 ETF들은 단순한 자산 보유를 넘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직접 참여하여 스테이킹 수익까지 확보할 수 있게 된다.
· CryptoTerminal

한국은행, 4월부터 CBDC '한강 프로젝트' 시범 운영…토큰 예금 결제 실험
한국은행이 디지털 금융 혁신을 위한 대규모 시범 사업인 '한강 프로젝트'를 오는 4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실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최대 10만 명의 국민과 주요 시중은행 7곳이 참여할 예정이다.
· CryptoTerminal

코스모스 생태계, EVM 프레임워크 도입으로 이더리움과의 호환성 강화
코스모스 생태계가 에브모스를 오픈 소스로 전환하여 표준 EVM 프레임워크로 채택함으로써, 이더리움과의 호환성을 강화하고 블록체인 상호운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전망이다. 이로써 코스모스 생태계 내 2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체인들이 표준화된 EVM 구현체를 갖추게 되었다.
· CryptoTerminal

이지 랩스, 플룸 네트워크에 전략적 투자
바이낸스의 이지 랩스가 블록체인 프로젝트 플룸 네트워크에 전략적 투자를 진행했다. 이번 투자는 전통적인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에 통합하고, RWAfi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평가된다.
· CryptoTerminal

OKX, DEX 애그리게이터 서비스 일시 중단
OKX 거래소가 라자루스 그룹의 악용과 EU 규제 당국의 조사로 인해 탈중앙화 거래소 애그리게이터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다. 서비스 재개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일정이 발표되지 않았다.
· CryptoTerminal

컴파운드, 모포 인프라 활용한 새로운 볼트로 디파이 시장 재도약 시도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인 컴파운드가 경쟁 대출 프로토콜인 모포와의 협력을 통해 폴리곤 네트워크에 새로운 볼트를 출시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컴파운드의 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한 전략으로 평가되지만, 일부에서는 컴파운드의 핵심 기술을 포기하는 것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CryptoTerminal

유니스왑 v3에서 샌드위치 공격 발생... 21만 6천 달러 손실
해당 사용자는 유니스왑 v3의 USDC와 USDT로 구성된 3,500만 달러 규모의 유동성 풀에서 스왑을 시도했다. 그러나 MEV 봇이 거래를 앞서 실행하여 모든 USDC 유동성을 제거한 후, 사용자의 거래가 실행되자 다시 유동성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공격을 수행했다.
· CryptoTerminal

OKX, '자금 세탁 연루 의혹' MiCA 라이선스 박탈 위기
OKX의 웹3 상품이 북한 해커 그룹 라자루스의 자금 세탁에 이용되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EU 규제 당국이 조사에 착수했다.
· CryptoTerminal

이니시아 월렛, 곧 종료… "테스트넷 사용자 계정 이전 필수"
이니시아 월렛을 통해 테스트넷을 사용한 이용자들은 오는 18일까지 계정을 이전해야 한다. 기한 내에 이전하지 않으면 테스트넷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게 되며, 향후 제공될 인센티브를 받을 수 없다.
· CryptoTerminal

이더리움, 하락세 계속… 펙트라 업데이트로 반등 가능할까?
가상자산 시장에서 이더리움의 부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비트코인과 솔라나 등 경쟁 블록체인들이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이더리움은 상대적으로 뒤처지는 모습이다. 그러나 올해 예정된 펙트라 업데이트를 통해 반등의 기회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 CryptoTerminal

네트워크 토큰부터 밈코인까지…a16z가 분석한 토큰 카테고리
a16z 크립토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7가지 주요 토큰 유형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네트워크 토큰, 증권형 토큰, 기업 지원 토큰, 아케이드 토큰, 수집형 토큰, 자산 담보 토큰, 밈코인 등 각 토큰의 특징과 법적, 경제적 고려 사항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 CryptoTerminal

a16z 크립토, 크립토 개발사 '사이스믹'에 700만 달러 투자
웹3 벤처 캐피털 회사인 a16z 크립토가 크립토 개발사 사이스믹에 대한 7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라운드를 마쳤다. 이번 투자에는 폴리체인, 1kx, dao5, NGC 등 주요 투자사들이 참여했다.
· CryptoTerminal

노블, 코스모스 기반 USDN 스테이블코인 출시
디지털 자산 발행 플랫폼인 노블(Noble)이 M^0 프로토콜과 협력하여 코스모스 기반 스테이블코인 USDN을 출시했다. USDN은 M^0의 인프라를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한 달러 기반 자산으로 설계되었으며, 온체인 파트너에게 동적으로 수익을 분배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 CryptoTerminal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 테스트넷에서 문제 발생
이더리움의 대규모 업그레이드인 '펙트라(Pectra)'가 최근 테스트넷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했다. 테스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인해 한 때 트랜잭션이 중단되었으며, 향후 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CryptoTerminal

엘릭서 네트워크, ELX 토큰 에어드롭 발표
엘릭서(Elixir) 네트워크가 자체 토큰인 ELX를 출시 예고하며, 토크노믹스와 초기 에어드롭 계획을 공개했다. ELX 토큰의 총 공급량 중 41%가 커뮤니티에 배정되었으며, 이 중 시즌 1 에어드롭이 8%, 향후 에어드롭과 유동성 공급자(LP) 인센티브가 21%, 그리고 ELX 스테이킹 참여자에게 지급되는 보상이 12%를 차지한다.
· CryptoTerminal

메타마스크 카드 출시 '사전 등록' 시작
메타마스크(MetaMask)가 최근 마스터카드와의 협력을 통해 메타마스크 카드를 출시했다. 현재, 메탈 카드 출시 전 사전 등록을 진행하고 있다.
· CryptoTerminal

인프라레드, 1,400만 달러 시리즈 A 투자 유치
베라체인 기반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인 인프라레드가 시리즈 A 라운드에서 1,400만 달러를 조달하여 총 1,875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 CryptoTerminal

메타마스크, 비트코인 및 솔라나 지원으로 지갑 기능 확장
메타마스크가 비트코인과 솔라나 지원을 추가하고,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 CryptoTerminal

베이스, 플래시블록 도입으로 블록 생성 10배 빨라진다
베이스가 플래시블록 기술을 도입해 블록 생성 시간을 0.2초로 단축했다. 이 기술은 현재 테스트넷에서 운영 중이며, 2025년 2분기 중 메인넷 출시가 예정되어 있다.
· CryptoTerminal

Sky, 베라체인과의 통합으로 디파이 유동성 강화
베라체인 재단은 "폴라리스의 Sky 생태계의 75억 달러 규모의 자본이 베라체인 생태계에 유입될 것이다"며, "이는 디파이 생태계에서 가장 강력한 유동성 엔진 중 하나가 유동성 증명과 결합되는 것"이라고 전했다.
· CryptoTerminal

이더리움 펙트라 업그레이드, 홀스키 테스트넷에서 활성화 실패
펙트라 업그레이드는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계획된 하드 포크로, 여러 가지 주요 개선 제안(EIP)을 포함하고 있다.
· CryptoTerminal

베라체인, 메인넷 출시 20일 만에 주요 블록체인 TVL 추월
베라체인은 메인넷 출시 후 20일 만에 TVL이 32억 7천만 달러를 돌파하며 수이, 아발란체 등 주요 블록체인을 앞질렀다. 이로써 디파이 TVL 순위에서 6위를 차지했다.
· CryptoTerminal

베라체인, 유동성 증명은 성공할 수 있을까?
유동성 증명이 과연 기존 디파이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유동성 증명 메커니즘이 블록체인 및 디파이 시장의 지속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있을지, 혹은 단순한 실험적 모델로 끝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CryptoTerminal

모나드, 테스트넷 공식 출시... '에어드롭' 참여 방법은?
· CryptoTerminal

월렛커넥트, 토큰 판매로 1,000만 달러 모금 성공
· CryptoTerminal

탈중앙화 거래소(DEX)란?
DEX는 중앙화 거래소의 한계를 극복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보안성과 투명성을 갖춘 거래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유동성 문제와 사용자 경험(UX) 개선 등의 과제가 남아 있다.
· CryptoTermi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