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왑, 1억 6,550만 달러 신규 재단 자금 승인... UNI 토큰 보유자 인센티브 예정
유니스왑 커뮤니티가 최근 두 가지 거버넌스 제안을 승인하여, 올해 초 출시된 유니체인 레이어2와 유니스왑 v4 프로토콜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보조금 프로그램과 유동성 인센티브를 추진하게 되었다. 수수료 스위치 정책이 활성화되면, 현재 유동성 공급자들이 얻고 있는 프로토콜 수익의 일부가 UNI 토큰 보유자들에게 분배될 예정이다.
유니스왑 커뮤니티가 최근 두 가지 거버넌스 제안을 승인하여, 올해 초 출시된 유니체인 레이어2와 유니스왑 v4 프로토콜의 성장을 위한 새로운 보조금 프로그램과 유동성 인센티브를 추진하게 되었다. 특히, 이번 결정은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온 '수수료 스위치(fee switch)' 도입의 기반을 마련했다.
'유니스왑 언리쉬드' 계획의 일환으로 제안된 이번 두 가지 거버넌스 제안은 유니스왑 생태계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 유니스왑 재단과 웹3 리스크 관리 프로토콜인 곤틀렛(Gauntlet)이 공동으로 작성한 이번 제안은 개발자 중심의 캠페인을 통해 새로운 사용자를 유치하고 생태계 성장을 지속시키기 위한 유동성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다.
We're thrilled to announce that last night, both UF governance proposals passed quorum.
— Uniswap Foundation (@UniswapFND) March 19, 2025
This marks the beginning of our community's next era: one that unlocks new opportunities to build, grow and to create and capture value.
→https://t.co/h1NnLUFskL
→https://t.co/kchEqv2PDH pic.twitter.com/udvUgdA3TR
유니스왑 커뮤니티, 1억 6,550만 달러 신규 재단 자금 승인
재단은 보조금 예산으로 9,540만 달러, 향후 2년간 운영 자금으로 추가 2,510만 달러를 요청했다. 별도의 인센티브 제안에서는 유동성 인센티브를 지원하기 위해 4,500만 달러의 예산을 요청했으며 모두 통과되었다.
수수료 스위치와 관련하여, 유니스왑 재단은 프로토콜 수수료 수익을 거버넌스 구성원에게 분배하기 위한 필요한 법적 절차를 통합할 계획이다. 제안서에는 "이 단계가 채택되면, 위임자들이 프로토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거버넌스 제안의 도입(또는 재도입)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수수료 스위치가 활성화되면, 현재 유동성 공급자들이 얻고 있는 프로토콜 수익의 일부가 UNI 토큰 보유자들에게 분배된다. 현재, 유니스왑은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수수료를 징수하고 있다.
한편, 유니스왑 v4는 올해 1월 중순에 출시되어, 개발자들이 풀, 스왑, 수수료 등의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 '훅(hooks)'을 배포함으로써 탈중앙화 거래소를 개발자 친화적인 프로토콜로 전환시켰다. 또한, 유니스왑 랩스는 옵티미즘 기술 스택을 활용하여 레이어2 네트워크인 유니체인을 출시한 바 있다.